언론보도_언론보도

목록 메뉴

신규 입사자를 위한 안전보건 가이드


    written by 최고관리자
    2017-01-10 09:59:25



    실천하기 쉬운 안전보건 수칙과 사고 대응법


    - 담고 있는 내용 -

    ● 신규 입사자의 특성과 재해 발생 현황
    ● 신규 입사자가 실천하기 쉬운 안전보건 수칙
    ● 사고 발생 시 대응 방법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일이죠! 안타깝게도 우리 산업현장에선 근무 기간이 짧은 근로자에게 산업재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매년 90,000여명의 근로자가 작업장 내외에서 다치고 있습니다.


    신규 입사자가 산업재해에 약한 이유는 작업환경과 일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미숙하고, 넘치는 의욕으로 무리한 작업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산업재해의 위험에 노출된 신규 입사자가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안전 수칙은 무엇일까요?


    작업 전 안전점검의 습관화ㆍ생활화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작은 것 사소한 것부터 안전을 실천해야 하는데요. 작업하기 전 안전점검의 습관화와 생활화가 되어야 합니다. 이 방법에는 법령과 규정 준수, 올바른 작업 복장과 보호구 착용, 유해위험장소에 대한 안전보건표지 부착이 있답니다.

    작업장 정리정돈은 안전의 기본
    쉽게 잊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작업 후 정리정돈이 나빠 걸려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도 많은데요. 정리는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는 것을 의미하며 정돈은 필요한 물건을 사용하기 쉽고 찾기 쉽도록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을 뜻하죠.


    유해ㆍ위험기계기구에 대한 지식은 필수
    유해ㆍ위험기계기구에 대한 방호조치는 필수인데요. 기계에 붙어 있는 방호장치가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 파악한다면 재해가 발생되지 않는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방호조치가 필요한 위험기구로는 대표적으로 예초기, 원심기, 공기압축기, 금속절단기, 지게차 등이 있습니다.

    이와 함께 건강보호장치를 사용할 땐 유해물질, 가스 등이 발산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장치의 문이나 덮개를 열어선 안되며 틈에도 주의를 기울여 자신의 건강을 지켜주세요.


    운반 중 사고도 조심!
    운반 작업 중 재해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데 화물을 운반하는 경우 체중의 35~40% 정도까지의 무게를 들 수 있도록 하며 물건을 들어 올릴 때는 무리한 동작을 하지 말고, 신체에 가까이 해 등을 똑바로 세운 채 다리를 펴 들어 올리도록 합니다.

    앞서 살펴본 것 이외에도 유해위험장소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경우 사고 위험성이 매우 크므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사고가 발생한다면 이렇게 대처하세요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조치에 따라 결과가 매우 다르답니다. 따라서 다음 사항을 지켜서 침착하게 조치를 해주세요.

    • 당황하지 말고 심호흡을 한번 하세요.
    • 섣불리 행동하지 말고 마음을 진정시킨 후 상황에 집중하세요
    • 어떠한 조치를 할 때는 그 조치로 일어날 수 있는 것을 예상해보세요..
    • 다른 사람에게 연락을 신속하게, 그러나 오해가 생기지 않도록 정확하게 해주세요.
    • 될 수 있는 한 선배나 상사의 지시를 따라 행동하세요.
    • 순서를 혼동하지 말고 지침을 떠올려 보세요.
    • 부상을 입지 않은 사고나 어느 정도 작은 부상이라도 결코 숨기지 말아주세요.


    이렇게 신입사원이 실천하기 쉬운 안전 수칙과 사고 발생 시 대응 방법을 살펴보았는데요. 이외에도 많은 안전 수칙들이 있으므로 관심을 갖고 생활화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사업장에서도 철저한 안전보건교육이 있어야겠죠?


    현장에 계신 신입사원 여러분! 아주 작은 방심이라도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지고 안전하게 업무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신규 입사자를 위한 안전보건 가이드|작성자 안젤이

    답글

    등록된 답글이 없습니다.


    코멘트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