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_언론보도

목록 메뉴

밀폐공간 질식사고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할까요?


    written by 최고관리자
    2017-06-30 10:04:36


    최근 5년간(‘2~16년’) 밀폐공간 질식사고로 188명이 부상을 당하였으며 94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질식사고는 다른 사고보다 사망으로 이러질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사고 발생시 2명 이상이 동시에 사망하거나 부상당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밀폐공간 질식사고의 예방법과 사고 발생시의 대처방안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밀폐공간 질식사고의 예방법!

    1) 특별안전보건교육 실시

    작업 전 작업안전수칙, 작업 시 주의 사항, 대피요령, 사용하여야 할 보호구 및 장비, 사고 시 구조 방법 및 응급처치 요령 등을 내용으로 하는 특별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2) 유해가스 농도 측정

    작업시작 전과 작업 중에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적정공기농도(산소 18~23.5%, 탄산가스 1.5% 미만, H₂O 10ppm미만, 기타 물질 별 노출기준)를 비교·판정하여 충분한 안전조치를 취한 후 작업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3) 보호장구 착용

    작업자에게 공기 호흡기 또는 송기 마스크 등 호흡용 보호구를 지급·착용하게 하여야 하며, 재해자 구출 시 구조 장비(안전대, 구명줄, 구조용 삼각대)를 구비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내부 출입을 금지하여야
    합니다.

    4) 작업시작 전과 작업 중 환기

    집 수조 내부 작업 시 적정한 공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배기 및 신선한 공기 공급을 위한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환기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안전한 밀폐공간 작업을 위해서는 예방법을 잘 숙지하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다음은 사고 발생시의 대처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고 발생시의 대처방안!

    1) 구조요청
    밀폐공간 내 재해자를 발견한 경우, 먼저 119나 회사 내 안전보건관리 팀에 연락을 취해야 합니다.

    2) 안전조치 후 재해자 구조
    재해자를 구조하기 위해서는 공기호흡기(SCBA)나 송기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하며, 구조자 구출에 필요한 안전대와 구명줄, 구조용 삼각대와 같은 보호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3) 심폐소생술 실시

    ○ 가습압박
    환자의 가슴 중앙에 깍지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가져다 대고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여 가슴을 압박하여야 합니다. 이때, 양팔을 쭉 편 상태에서 체중을 실어 환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가슴을 압박하며, 성인에게는 분당 100~120회 속도, 5~6초 깊이로 눌릴 정도로 강하고 빠르게 압박을 하는 동시에 ‘하나’, ‘둘’, ‘셋’……’서른’하고 세어가면서 시행하여야 합니다.

    ○ 기도 개방
    환자의 머리 젖히고, 턱을 들어 올려서 환자의 기도를 개방합니다.

    ○인공호흡 2회 실시
    머리 젖혔던 손의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코를 막아서 잡고, 입을 크게 벌려 환자의 입을 완전히 막은 뒤에 가슴이 올라올 정도로 1초 동안 숨을 불어 넣습니다.
    숨을 불어넣은 후에는 입을 떼고 코도 놓아주어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합니다.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이후에는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하여야 하며, 다른 구조자가 있는 경우에는 한 구조자는 가슴압박을, 다른 구조자는 인공호흡을 맡아서 시행합니다.

    ○회복자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계속 반복하던 중에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이면, 호흡이 회복되었는지 확인하고 회복되었다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혀 기도가 막히는 것을 예방하여야 합니다.
    그 후 계속 움직이고 호흡을 하는지 관찰을 하여야 합니다. 만약 환자의 정상적인 호흡이 없어지면 심정지가 재발한 것이므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즉시 다시 시작합니다.


    밀폐작업 중 질식 사고의 대처 방안에 대해 이해하셨나요?


    밀폐공간에서의 작업 중 질식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심폐소생술을 모두 실천할 수 있겠죠?
    모두 밀폐공간에서의 안전한 작업을 위해 조심조심 코리아! 파이팅!!


    [출처] 밀폐공간 질식사고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할까요?|작성자 안젤이

    답글

    등록된 답글이 없습니다.


    코멘트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