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_언론보도

목록 메뉴

건설업 종사자를 위한 떨어짐 방지 그네식 안전대 착용 체크리스트


    written by 최고관리자
    2017-06-07 10:20:44



    건설현장에서 일어나는 추락재해는 대부분 안전 시설 설치의 미비와 규칙을 지키지 않아서 생기는
    안타까운 사고가 대부분입니다. 때문에 작업자와 관리자, 사업주는 처음부터 안전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하지요.
    추락재해가 발생하는 장소 및 유형을 살펴보면 고소에서의 추락, 개구부 및 작업대 끝, 비계, 사다리 및 작업대, 철골, 비계 등의 조립 및 해체 작업 중, 비탈면, 경사면에서의 추락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떨어짐 재해 위험방지의 문제점

    추락 위험이 있는 고소작업은 대부분 임시작업이 많아 상황에 따라 위험 장소가 변화합니다. 그리고
    작업에 따라 난간 등의 설치가 곤란하거나 설비측면의 대책을 강구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근로자의 작업형태에 따라 보통의 안전대책으로는 불충분해 특수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어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고소 작업 개소에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발판과 기타 추락방호조치가 곤란한 경우로 인해 추락의 우려가 있다면 반드시 안전대 or 그네식 안전대를 착용해야 하는데요. 그네식 안전대는 띠 모양의 부품을 전신에 착용해 근로자가 추락 시 받는 충격하중을 신체 전면에 고르게 분산시켜 충격을 최소화 시켜주는
    안전대입니다. 그네식 안전대를 착용하기 전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떨어짐 방지 그네식 안전대 착용 체크리스트


    체크1. 철골 조립 작업 시, 먼저 안전대 걸이 시설을 설치하셨나요?

    철골 조립 작업 등에서는 안전대 걸이 시설 설치를 먼저 작업하고, 후속 작업이 진행되어야 안전합니다. 안전대는 높이 2m 이상의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에는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 작업발판이 없거나, 난간대로 부터 상체를 내밀어 작업하는 경우, 작업발판과 구조체 사이의 거리가 30cm이상 떨어진 경우 등의 작업 시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체크2. 그네식 안전대 착용 후 장비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셨나요?

    그네식 안전대 착용 후 각각의 상황에서 하중을 견디는 지의 여부 점검 등 그네식 안전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사용해야 안전합니다. 죔줄, D링 등 부속 철물에 이상이 없는 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
    부품이 빠지거나 변형되지 않았는지 반드시 확인합니다. 또한 그네식 안전대는 개인용 보호구로
    착용하기 때문에 사용요령에 대해 명확히 숙지해야 합니다.


    체크 3. 철골 조립 작업 시 안전방망을 설치하셨나요?

    안전방망은 작업 면으로부터 망까지 수직거리 10미터 이내에 설치해야 안전합니다. 만약 용접이나 용단작업 등으로 방망이 파손되었다면 즉시 교체하고, 인체 또는 동등 이상의 중량에 충격을 받은 방망 역시 사용을 금지하고 교체해야 합니다. 안전방망의 지지점은 방망 주변을 통해 추락할 위험이 없는 적정
    간격을 지켜 설치합니다.

    그네식 안전대의 체크리스트, 모두 확인하셨나요? 안전대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안전대의 일상 점검을 게을리해서는 안됩니다. 생명을 지켜주는 중요한 장구이기 때문에 성능의 결함은 금물이지요. 늘 부품이나 줄 상태 등 보호장구의 상태를 확인해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재해에 늘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안전포켓] 건설업 종사자를 위한 떨어짐 방지 그네식 안전대 착용 체크리스트|작성자 안젤이

    답글

    등록된 답글이 없습니다.


    코멘트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