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_언론보도

목록 메뉴

고령근로자의 과로위험, 원인과 예방책


    written by 최고관리자
    2017-06-02 10:20:35


    수명이 연장되고 출산율은 떨어지면서 모든 산업 분야에서 젊은 층보다 장년 층 이상의 근로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고령근로자의 건강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요.
    고령근로자는 시력 및 청력, 호흡기 및 심혈관계기능, 반사신경, 균형감각 등의 저하로 인한 넘어짐,
    미끄러짐, 추락 등의 재해 위험이 증가합니다. 재해를 입었을 경우 상대적으로 완치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지요.

    하지만 이렇게 연령이 높아지면서 생기는 건강에 대한 유의점 뿐만 아니라 업무 환경과 강도 때문에
    발생하는 건강 장해도 있습니다. 젊은 층도 마찬가지이지만 고령근로자는 특히 과로에 취약한데요.
    고령근로자는 숙면을 취하는데 어려움을 느껴 과로에 따른 후유증이 더 큽니다. 고령근로자에게 특히
    위험한 과로의 위험과 원인, 예방책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과로의 원인과 증상

    근로자가 과로를 하는 원인은 업무에 의한 요인이 일반적이지만 업무외적 요소에 의한 원인도
    존재합니다. 또한 이들이 서로 연계되는 복합 원인도 있는데요.
    업무에 의한 과로는 책임감 높인 일의 연속, 강도 높은 작업의 연속, 불규칙한 작업, 열악한 작업환경,
    과도한 업무로 인한 심리적 압박, 심야작업의 연속 등 다양한 작업환경과 업무강도에서 나타납니다.
    업무외적 요인으로는 건강상태, 가정불화, 식습관 등 심리적 요인 및 환경요인 등도 과로의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과로의 증상은 가슴 두근거림, 호흡곤란, 빈뇨, 식욕부진, 위장장애, 혈압상승, 불안, 불명, 두통, 식은 땀 등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무리한 신체작업에 의한 과로의 경우 사용한 근육과 관절을 중심으로 증상이 나타나지요. 심하면 건초염, 관절염, 추간판의 변화 등이 생길 수 있는 자신의 업무 강도를 잘 살펴보고 과로에 주의해야 합니다.


    과로성 예방 대책

    과로로 인한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업장의 작업환경 관리, 작업 관리, 건강관리가 조화롭게 이뤄져야 합니다. 특히 고령 근로자와 같은 고위험 근로자(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거나
    고혈압인 사람)에 대해서 철저한 보건관리를 실시해 과로로 인한 질병을 예방해야 합니다.


    과로성 질병 예방 요령

    - 유해 위험작업 근로자의 근로시간 제한 및 작업시간 중 적정 휴식시간을 부여합니다.
    - 교대 근무자는 교대 작업 일정을 작성하여 작업을 실시해 생체리듬을 유지합니다.
    - 유해∙위험환경을 개선해 물리적 스트레스를 줄여줍니다.
    - 쾌적한 직장 분위기를 조성해 정신적 스트레스를 완화합니다.
    -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 생활의 적극적 실천과 환경조성이 중요합니다.

    과로성 질병을 예방하려면 평소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고, 편안한 마음가짐과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필요합니다. 금연, 금주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기르고 충분한 수면과 적절한 휴식도 꼭 취해야
    합니다.
    업무상 질병으로 발생하기 쉬운 과로는 환경적 영향에 취약한 고령근로자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하는데요. 현재 건강을 유지하고 있더라도 과도한 업무는 피하고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
    무리하지 않아야 합니다. 매일 안전을 위해 나 자신의 건강도 돌아보는 시간, 함께 실천해주세요


    [출처] [매일 안전 가이드] 고령근로자의 과로위험, 원인과 예방책|작성자 안젤이

    답글

    등록된 답글이 없습니다.


    코멘트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