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_언론보도

목록 메뉴

에스컬레이터 사고의 위험요인과 안전대책


    written by 최고관리자
    2017-05-30 09:51:37


    에스컬레이터는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일상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해주는
    시설입니다. 에스컬레이터는 동력으로 구동되며, 사람들이 오르내리는데 사용되는 경사지고,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계단을 말합니다.
    지하철역이나 아파트, 빌딩, 백화점 등 어디에서나 흔히 이용할 수 있어 이제 에스컬레이터가 없는 일상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입니다. 그만큼 안전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어야 하는데요.


    뉴스를 보면 종종 에스컬레이터에서 끼임 사고, 넘어짐, 추락 등의 재해가 빈번히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2014~2016년 최근 3년 간 서울 지하철 1-9호선에서 발생한
    에스컬레이터 사고는 총 392건이며 2014년 112건, 2015년 123건, 2016년 141건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그 심각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에스컬레이터 사고 위험요인
    -에스컬레이터 스텝 틈새에 끼임
    -이동을 방해하는 판매대, 마네킹, 진열받침대 등 설치물과의 충돌
    -손잡이를 잡지 않아서 균형을 잃거나 넘어질 위험
    -손잡이 밖으로 몸을 숙이거나 기대다가 머리, 손, 팔 등이 구조물과 부딪힘


    에스컬레이터 안전 대책

    ▶사업주/관리자 안전 대책

    -에스컬레이터의 난간 바깥쪽과 천장이 만나는 지점에 방호물 설치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하고 근로자가 위치와 작동법을 바로 알기
    -담당자가 검사해 위험이 없다고 판정하고 지시할 때까지 재가동 하지 않기
    -경사도는 30도 이하로 핸드레일과 디딤판의 속도는 30m/mim 이하로 유지
    -착지지점 바닥에 부착물, 박스, 기타 걸려 넘어질 물체 두지 않기
    -에스컬레이터 사고 예방 문구 표지판 설치
    -천정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삼각부 안내판 설치

    ▶이용자 안전 수칙

    -무겁거나 부피가 큰 물체를 에스컬레이터로 옮기지 않기
    -발판 위에서 걷거나 뛰지 않기
    -반드시 황색 안전선 안에서 정지한 상태로 에스컬레이터 이용하기
    -에스컬레이터를 탈 때 반드시 핸드레일을 잡고 타기
    -옷이나 물건 등이 틈새에 끼이지 않도록 주의하기
    -핸드레일 이외의 내측판에 몸을 기대지 않기/몸을 내밀지 않기


    매일 이용하는 에스컬레이터는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한 사업주와 설치관리자가 안전 대책을 제대로 숙지하고 이용자 역시 안전 수칙을 항상 염두하며 이용해야 안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항상 이용한다고 해서 방심하지 말고, 에스컬레이터를 탈 때마다 늘 안전을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에스컬레이터 사고의 위험요인과 안전대책|작성자 안젤이

    답글

    등록된 답글이 없습니다.


    코멘트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