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름
패스워드
이메일
홈페이지
옵 션
html
제 목
> > > 사업주와 근로자가 감정노동에 대처하는 방법 > > > - 담고 있는 내용 - > > ● 감정노동의 현황과 위험성 > ● 사업주가 감정노동에 취할 수 있는 조치 > ● 근로자가 감정노동에 대처하는 방법 > > >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열 명 중 6명은 본인을 감정노동자라고 느낀다고 응답했는데요. 이렇듯 일터에서의 감정노동 문제는 피할 수 없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 사업주와 근로자가 취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 >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하나로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뇌심혈관계질환, 소화기질환 등의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울, 정신적 탈진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 > > 그렇다면 사업주가 실천할 수 있는 대처 방법부터 살펴볼까요? > > > 감정노동 관리에 대한 방안을 마련해주세요. > > 감정노동이 업무의 일부이고 중요한 스트레스 요인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우선시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먼저 적정 서비스 기준과 고객 응대 매뉴얼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습니다. 고객에게 무조건 친절히 응대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적정 서비스 기준을 제시하고 악성고객 대응 규정을 만들어 고객에게도 알리는 것이 좋습니다. > > 또한 감정노동 문제를 종합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센터를 마련하거나 근로자들의 고충을 직장에 전달할 수 있는 통로를 운영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와 함께 근로자가 감정노동만 지나치게 할 경우 소진(burn out)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적절하게 직무순환을 하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 이외에도 편안한 공간 제공과 안전 보건교육 시 감정노동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것도 사업주가 실천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 > > 감정관리와 올바른 생활습관, 심리적 재충전 기회를 갖도록 하세요. > > 근로자가 실천할 수 있는 개인적인 방법으로는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는 방법을 습득하는 것입니다. 일과 자신을 구분하고 '그만'하고 생각을 멈추거나 호흡법, 근육이완법, 명상법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 이외에도 어려움을 나눌 수 있는 동료나 상사를 만들고 규칙적이고 올바른 생활습관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취미활동이나 봉사활동 등을 통해 심리적으로 재충전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방법도 있습니다. > > 이와 함께 근로자, 회사, 고객 '모두가 행복한 서비스' 문화 정착도 중요합니다. '모두가 행복한 서비스'는 고객의 요구 사항은 어떤 상황에서도 수용해야 하는 것이 아니며 서로를 배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 그럼 우리 모두 '모두가 행복한 서비스' 문화의 실천으로 일터가 감정노동으로부터 행복해질 수 있도록 노력해볼까요? > > > [출처] 감정노동, 함께 대처하세요!|작성자 안젤이 >
링크 #1
링크 #2
파일첨부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