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름
패스워드
이메일
홈페이지
옵 션
html
제 목
> > > 심혈관질환 응급 상황에 대처하는 심폐소생술 요령 > > > - 담고 있는 내용 - > > ● 겨울철 심혈관질환의 위험성 > ●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 ● 심폐소생술 시행 요령 > > > 혹시 4분의 기적을 들어보셨나요? 심장이 멈춘 후 4분이 지나면 뇌손상이 일어나는데 이 안에 심폐소생술이 이뤄진다면 생존율이 50% 이상으로 올라갑니다. 오늘은 겨울철 발생하는 응급 상황에 대처하는 심폐소생술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 > 그렇다면 심폐소생술이 왜 겨울에 더욱 필요한 걸까요? 바로 겨울철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심혈관질환 때문입니다. 심혈관질환은 갑작스럽게 발생해 무엇보다 빠른 조치가 필수적이랍니다. 따라서 심혈관질환과 관련해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심폐소생술이 중요한 것입니다. > > > 심혈관질환 환자가 발생했을 때는 119에 신고한 후 의식이 있다면 머리와 어깨를 올려주고 허리띠 등은 느슨하게 합니다. 의식이 없다면 머리를 뒤로 젖혀 기도를 유지하고 구토를 했을 땐 입 속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이때 음식물 등을 먹이지 않고 호흡과 맥박이 없다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 > > 심폐소생술 시행 요령 > > 본격적인 시행에 앞서 환자의 움직임과 눈 깜빡임, 대답 등으로 반응과 호흡 여부를 확인하고, 반응이 없다면 주위에 신고 요청을 합니다. 주위에 자동제세동기가 있다면 이를 함께 요청해야 합니다. > > > 1. 가슴압박 > > 먼저 환자의 가슴 중앙에 깍지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댑니다. 이때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가슴 압박은 양팔을 쭉 편 상태에서 체중을 실어 환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합니다. > > 성인에게 분당 100~120회 속도로, 5~6cm 깊이로 강하고 빠르게 압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소리 내어 하나부터 서른까지 세어가면서 시행합니다. > > > 2. 기도 개방 및 인공호흡 2회 시행 > > 가슴압박이 끝나면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 턱을 들어 올려서 환자의 기도를 개방합니다. 머리를 젖혔던 손의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코를 막아서 잡고, > > 입을 크게 벌려 환자의 입을 완전히 막은 뒤에 가슴이 올라올 정도로 1초 동안 숨을 불어 넣습니다. 숨을 불어넣은 후에는 입을 떼고 코도 놓아주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해야 합니다. > > (※인공호흡이 서툰 일반인의 경우 인공호흡보다 가슴압박에 집중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 > 3.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 > 그리고 나서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구급 대원이 현장에 올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합니다. 다른 구조자가 있는 경우, 한 구조자는 가슴압박을 맡고 다른 구조자는 인공호흡을 맡아서 시행하면 됩니다. > > > 4. 회복 자세 > > 만일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하던 중에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이면, 호흡이 회복되었는지 확인하고 회복되었다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혀 기도가 막히는 것을 예방해줍니다. > > 그 후엔 계속 움직이고 호흡을 하는지 관찰하고 환자의 정상적인 호흡이 없어지면 심정지가 재발한 것이므로 그 즉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시작해야 합니다. > > > 여기까지 겨울철 응급상황에 필요한 심폐소생술의 방법을 살펴보았는데요. 심혈관질환은 전조증상을 보일 때 병원에 내원하면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답니다. 생활 속에서 심장 건강을 지키려면 흡연과 과도한 음주, 짠 음식을 조심하도록 하세요! > > > [출처] 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의 방법|작성자 안젤이 >
링크 #1
링크 #2
파일첨부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