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름
패스워드
이메일
홈페이지
옵 션
html
제 목
> > > 가구래 두더지공방 박경래 대표 > > > - 담고 있는 내용 - > > ● 목공 작업 시 위험 요인과 안전 수칙 > ● 셀프 목공 작업에서 주의해야 할 점 > > > 11년 전, 박경래 대표는 회사를 그만두고 목수가 되기로 했습니다. 아이를 위한 가구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계기가 됐습니다. 전문가의 도움 없이 목공을 시작했고, 그래서 안전에 취약했다고 고백하는 박 대표. 결국, 그는 손가락 절단이라는 아픔을 겪고서야 안전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누군가도 뒤늦은 후회를 하지 않기 바라는 마음에서, 그가 체득한 목공 안전 노하우를 전합니다. > > > Q. 목수라는 직업의 매력은 무엇인가요? > > A. 목수를 직업으로 선택한 대부분에 사람들은 이 일이 좋아서 하시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조건 때문에 목수를 하시는 분들은 극히 드물다고 봐요. 수제 원목 가구에 대한 수요가 많아도 공급은 한정적이다 보니 경제적으로 큰돈을 벌긴 힘든 직업이거든요. 하루 12시간 이상 노동을 해서 한 달에 만들 수 있는 작품 수는 많아야 두세 점 정도예요. > > 수제 원목 가구를 만드는 상업과 예술의 경계에 있는 것 같아요. 어떤 가구는 의뢰한 고객과의 소통에서 오는 즐거움도 있고, 퀄리티 있는 작품을 만들었을 때는 만족감도 큽니다. 작품을 만든다고 생각하고 끊임없이 배우고 연구하는 자세로 일하니 자기계발도 된답니다. > > > Q. 목공 장비를 다룰 때 어떤 위험에 처할 수 있나요? > > A. 원하는 크기로 나무를 재단할 때 테이블 쏘라는 장비를 사용하게 됩니다. 테이블에 톱날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돼 있고 그 위에 나무를 올려 밀어주는 방식으로 작업하는데, 이때 손으로 나무를 밀다가 절단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전동 공구나 기계는 고속 회전 운동을 하므로 작업 시 부주의하면 회전하는 축에 옷깃이나 여성의 긴 머리카락, 손가락 등이 말려 들어가 끼임이나 신체 부위의 절단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 > 나무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사포질 작업을 할 때도 조심해야 해요. 가시가 손에 박히거나 자칫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톱으로 목심을 자르거나 끌로 홈을 팔 때 역시 부재를 잡고 있는 왼손이 공구에 찔리거나 베일 수 있어서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죠. > > > Q. 요즘엔 직접 가구를 만드는 사람들이 많아졌어요. > > A. 처음 목공을 시작하시는 분들이라면 공구를 안전하게 다루는 법부터 배워야 합니다. 안전을 위해 작업자는 고글, 귀마개, 방진 마스크 등과 같은 안전 보호 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작업복은 될 수 있으면 몸에 밀착되게 착용하고 여성이라면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게 묶는 것이 필수입니다. > > 가정에서는 기계 작업보다는 수공구를 많이 사용하게 될 거예요. 톱이나 끌 작업은 한 손으로 목재를 잡고 다른 손으로 장비를 다루게 되는데, 이때 목재를 잡을 손이 작업 반경에 절대 들어가지 않게 해야 합니다. 공방에서 기계 장비를 다룰 때는 날물(대패의 날부분)로부터 10㎝ 이내에는 손이 들어가면 안 되고, 만일 그 범주 안에 손이 들어가야 할 경우에는 푸시 블록이나 나무 막대, 클램프와 같은 보조 도구를 사용해야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 > 예전에는 전동 공구나 기계를 사용할 때 천으로 된 장갑을 착용하지 않았습니다. 회전하는 날에 장갑이 말려 들어가 사고 위험이 높다는 이유 때문이죠. 요즘엔 고무나 실리콘, 가죽 소재로 만든 특수소재 장갑이 많이 나와서 회전하는 기계에 접촉 시 말리지 않고 끼인 부분만 뜯겨 나가게 됩니다. 장갑을 착용할 때는 이런 특수 소재 장갑을 선택해야 합니다. > > > Q. 안전을 위해 특별히 신경 쓰는 부분이 있나요? > > A. 요즘에는 작업자들이 안전 사항이나 규칙을 잘 지키는 편이어서 별로 큰 사고가 없습니다. 그래도 공구나 기계를 다루는 목공에 있어서 방심은 금물이죠. > > 제 생각엔 혼자서 작업을 할 때가 가장 위험한 것 같습니다. 작업에 몰두하다 보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칼날로 손이 가까이 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옆에서 봐주는 사람이 꼭 필요합니다. 제가 저희 공방 회원들을 2인 1조로 작업하게 하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입니다. > > > 내가 느낀 안전사고 Point > > 1. 작업 전 안전 보호 장비는 필수 > 안전하게 목공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고글, 방진 마스크, 귀마개, 장갑 착용이 필수입니다. > > 2. 위험한 기계 작업은 보조 도구를 활용 > 나무를 자르는 작업을 할 때 절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을 사용하는 대신 나무 막대, 푸시 블록, 클램프 등의 보조 도구를 활용해 작업합니다. > > 3. 클램프 중심대에 장갑 씌어두기 > 클램프는 목재를 절단하거나 결합할 때 사용하는데, 작업을 마친 후에는 클램프 중심대에 장갑을 씌워 두면 무심코 찔리거나 부딪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 > 박경래 대표가 전하는 셀프 목공 시 주의사항 > > 1. 의욕만 앞서면 위험에 처할 수 있어요 > 집에서 혼자 목공을 하시는 분들은 안전에 소홀한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나 초보자라면 전동 공구나 기계 사용법부터 숙지해야 하고 작업할 때도 안전 수칙을 준수해 작업합시다. > > 2. 망치질도 안전하게! > 목공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나사못을 박게 되는 일이 종종 생기게 됩니다. 이럴 때 나사못을 펜치로 고정해 망치질을 하면 더욱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 > 3. 도구의 진행 방향으로 손을 놓지 마세요 > 톱이나 끌 작업을 할 때 베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목재를 잡은 손이 도구의 진행 방향에 놓이지 않게 합니다. > > > [출처] 목공의 숨은 조력자, 안전|작성자 안젤이 >
링크 #1
링크 #2
파일첨부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