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7-06-30 09:54
추락재해 유형에 따른 원인과 예방방법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2,090  

건설현장 사망재해 1순위인 추락재해!
 
-담고 있는 내용-
● 추락재해 다발작업
● 위험 포인트
● 안전작업방법


여러분은 추락재해가 건설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위험성이 높은 산업재해로 인식되는 만큼 추락사고 사망재해는 전체 산업재해에서 17.4%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건설현장에서 6,000명 이상의 근로자가 추락으로 다치고 300명 이상의 근로자가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추락재해가 주로 발생하는 곳은 어디일까요?>

▷개구부
 
▷작업발판

▷비계
 
▷이동식사다리

▷철골작업

위의 5가지 장소에서 추락재해가 많이 일어나는 이유는 <위험 포인트>가 높기 때문인데요.
위험 포인트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그에 따른 적절한 안전장치와 감수성 있는 인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작 전 추락위험 작업에 해당하는 근로자들은 소집단을 형성하고 위험예지훈련을 거쳐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위험예지훈련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각자의 위험 포인트를 토론하고 순위를 선정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닌 한손씩 마주잡고 다른 손으로 위험 포인트를 가리키며 3번씩 복창하는 지적확인을 하는 것입니다.


√ 개구부의 위험 포인트는 각종 개구부 주변과 발코니 단부 등 수직 개구부에 인접하여 작업 중 안전난간 미설치로 인한 추락위험이 있습니다.

√ 작업발판은 주로 설치하거나 해체할 때 추락재해가 많이 발생하는데 안전난간 및 안전대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발판 설치작업 중 발판의 유동 또는 이탈 또는 실족으로 추락위험이 증가합니다. 작업발판 해체작업 중 무리한 동작으로 인한 추락위험이 있으니 주의를 요합니다.

√ 비계는 건물 외부 비계설치·해체 작업과 이동식 비계 상부에서 작업 중 안전난간 미설치, 작업발판 미설치 미 고정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위험이 있습니다.

√ 이동식사다리는 2m 이상 고소작업 장소에서 작업발판 미설치 상태로 이동식사다리를 이용 작업 시, 이동식사다리 전도방지조치 미흡, 견고하지 않은 구조의 현장제작 목재사다리 사용 시 추락위험이 있습니다.

√ 철골작업은 수평·수직이동 통로 미설치 및 설치방법 불량, 추락방지 망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및 착용방법 불량에 의한 추락위험이 있습니다.


여기서 여러분은 추락재해 다발작업 시 위험 포인트의 공통점을 찾으셨나요?
바로 근로자가 건축물이나 비계, 기계, 사다리 등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 대책으로 꼽히는 안전난간, 안전대, 전도방지장치, 추락방지 망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안전장치를
바탕으로 한 올바른 <안전작업방법>을 알아봅니다.


◉ 바닥 개구부는 덮개를 고정설치하고 위험표지판을 부착 또는 발코니 단부 등 수직개구부에는 안전난간 설치, 부득이 개구부주변에서 안전시설을 해체하고 작업 시에는 안전대걸이시설 확보 후 안전대를
착용하고 작업합니다.

◉ 높이2m이상인 작업 장소에는 비계를 조립하고 폭40cm 이상의 안전한 작업발판 설치, 작업발판 단부에는 안전난간 설치, 작업발판 설치·해체 시에는 안전대 작업용도로 사다리사용을 금지하고 이동식사다리 상·하부 전도방지조치 실시 착용합니다.

◉ 공사 전에 철골건립 공법이나 작업방법 및 작업순서 등 공사 계획수립 시 추락 위험요인이 없도록 계획수립하고 철골 기둥마다 수직통로 승강트랩 설치, 추락방지용 안전방망설치, 안전대걸이시설을 확보 후 안전대착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안전작업방법을 살펴봤는데요.
안전장치를 기본대책으로 하여도 올바르지 않은 방법으로 작업한다면 근본적인 안전화가 되지 않겠죠? 그렇기 때문에 건설현장의 추락위험 포인트에 종사하거는 여러분들의 추락재해 안전화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아주 중요합니다.


[출처] 추락재해 유형에 따른 원인과 예방방법|작성자 안젤이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게시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로 북마크 하기 게시글을 네이버로 북마크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