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7-08-03 14:58
지반이 부풀어오르는 보일링 현상, 히빙 현상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3,773  

지반이 부풀어오르는 보일링 현상

건설 현장에서 한 분께서 “어제는 분명히 땅을 평평하게 다지고 갔는데 그다음 날 자고 일어나 보니 땅이 부풀러 올라 있었습니다.”라는 제보를 받았습니다. 지반이 부글부글 끓어오르듯이 지표면 위로 흘러나와 파괴되는 현상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이 현상을 보일링 현상 이라고 합니다. 보일링, 히빙 현상 이란
정확히 무엇인지,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보일링 현상이란 모래 지반을 굴착할 때 굴착 바닥 면으로 뒷면의 모래가 솟아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지하수위가 높은 모래나 자갈층과 같은 투수성 지반에서 흙막이 벽을 강널말뚝으로 하여 굴착할 경우 굴착 바닥 면에서 물이 솟아오르는 수가 있습니다. 이때 수압으로 인해 모래 입자가 지표면 위로 흘러나와 지반이 파괴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면 벽체 전체에 미치는 저항과 벽체
하단의 지지력이 없어질 뿐 아니라 흙막이 벽과 주변 지반까지 파괴되는 위험한 현상입니다.

히빙 현상이란 흙막이나 흙 파기를 할 때 아래쪽의 지반이 약하면 흙막이 바깥쪽에 있는 흙의 중량과 지표 자체의 중량 때문에 바닥 면에 압력이 가해져 바닥의 흙이 붕괴됩니다. 이때 흙막이 바깥에 있는 흙이 안으로 밀려들어 불룩하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히빙 현상이라고 합니다. 지반이 연약한 점성 토에서 흔히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보일 링, 히빙 현상들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현상들이 사전에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보일링 현상 방지대책입니다.

1. 주변수위를 저하한다.
2. 흙막이 벽을 깊이 설치하여 지하수의 흐름을 막는다.
3. 굴착 토를 즉시 원상매립 한다.


히빙 현상 방지대책입니다.

1. 흙막이의 근입깊이를 깊게 한다.
2. 굴착 면에 하중을 가한다.
3. 양질의 재료로 지반개량을 한다.
4. 표토를 제거하여 하중을 적게 한다.


최근 산업현장에서의 매몰사고 등 보일 링, 히빙 현상으로 인한 산업재해가 몇 사례 있었습니다.
재해가 일어나지 않게 지반을 사전에 검토하고 설계하고 공법을 적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현장 내에서의 철저한 관리∙감독과 근로자들의 안전수칙 준수 여부, 마음가짐이 재해를
예방하는데 우선입니다. 폭염으로 인해 현장에서는 힘들고 안전수칙을 하나하나 지키기 어려운 환경이지만 힘내어 산업 재해 없는 현장을 만드는데 스스로가 앞장섭시다!


[출처] <安단테> 지반이 부풀어오르는 보일링 현상, 히빙 현상|작성자 안젤이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게시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로 북마크 하기 게시글을 네이버로 북마크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