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6-12-22 09:48
장년근로자와 여성근로자를 위한 재해예방법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2,597  

취약계층 재해예방 방법!


- 담고 있는 내용 -

● 장년근로자의 특징과 재해 예방법
● 여성근로자의 특징과 재해 예방법


누구나 산업재해에서 자유로울 수 없지만 장년 근로자와 여성 근로자들은 일반 근로자들에 비해 산업재해에 보다 더 쉽게 노출되고 있습니다. 이들이 재해에 더 쉽게 노출되는 이유와 그것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년근로자의 특징 및 재해

장년 근로자란 50세 이상 65세 미만인 사람과 65세 이상인 사람으로서 취업하고 있거나 취업의사가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하지만 장년근로자는 시각, 청각, 운동기능, 학습능력, 기억력 등 신체기능이 저하되고, 이에 따른 정신적 부담과 작업 대체 능력이 저하됩니다.


이러한 장년근로자의 산업재해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인데, 취업 또한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앞으로 재해도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업종별 장년 근로자 산업재해를 살펴본다면 건설업이 29.7%, 건물 등 종합 관리사업이 14.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장년근로자 재해 예방법

특히 넘어짐과 떨어짐 사고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런 사고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소작업을 가능한 지상 작업으로 변경하고, 안전장비를 착용하고 작업을 실시해야 합니다. 또한 위험표지를 눈에 띄기 쉽게 설치하고 발에 걸려 넘어질 수 있는 통로의 턱이나 장애물을 제거하여 넘어짐을 사전에 예방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질병의 예방과 건강지도, 심리상담을 실시하고, 건강관리 등 장년 근로자 안전교육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장년근로자를 채용하고 있는 기업은 장년 근로자용 안전보건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매일 자신의 안전을 점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근로자들은 꾸준한 스트레칭을 통해 신체 각 부위를 골고루 움직여 몸에 쌓인 피로를 해소시키고 몸을 유연하게 하여 자신의 몸을 스스로 지킬 필요가 있습니다.


여성근로자의 특징 및 재해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키가 작고, 체중이 낮으며, 신체 중심이 아래에 있어 활발한 움직임이 불리합니다. 골격과 근육의 발달이 남성보다 약해 근력이 떨어지지만 섬세하고 세밀한 일에 유리합니다.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비중은 1964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산업재해자 중 여성 점유율 또한 매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여성근로자의 업종별 재해 현황을 살펴본다면 기타의 각종 사업 등 서비스업종이 전체 재해의 6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성근로자 재해 예방법

여성근로자의 산재 재해 요인 중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넘어짐 40.8%, 끼임 14.4% 등의 순으로 발생되고 있습니다. 이런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장 바닥에 있는 물건이나 미끄러운 물기 등은 작업 후 바로 제거하여 미끄러져 넘어지는 위험이 없도록 조치하고 미끄럼 방지 안전화 등 개인용 보호구를 착용을 해야 합니다.

 또한 절단기, 분쇄기 등에 식품을 넣는 작업 시 기계에 말려들어 갈 우려가 있는 면장갑을 착용하지 않고 작업을 하여 끼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야 합니다.


특히 감정노동을 많이 하는 여성근로자들은 규칙적이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자신에게 맞는 기분전환 방법을 찾아 기분을 전환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일과 상관없는 취미 생활이나 적절한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보다 사고에 취약한 계층의 근로자들을 일반 근로자들이 조금 더 배려해주고 취약계층 근로자들 또한 재해에 쉽게 노출되고 있음을 인지하여 업무를 하는 중 안전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는 취약계층 근로자들 또한 안전하고 행복한 일자리가 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조심조심 코리아!


[출처] 장년근로자와 여성근로자를 위한 재해예방법|작성자 안젤이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게시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로 북마크 하기 게시글을 네이버로 북마크 하기